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여행/경상북도23

상주시(상주곶감) 🌩 ■ PI 어플 다운로드 및 설치 가이드 ■ ⛈️ 상주시는 경상북도 서북쪽의 내륙에 위치한 도농복합형 도시로서 동쪽으로 구미시와 의성군, 서쪽으로 충북 보은 · 옥천 · 괴산군, 남쪽으로는 김천시와 충북 영동군, 북쪽으로는 문경시와 예천군으로 접해 있는 북부지역의 교통요충지이다. 연평균 기온은 12~13℃정도로 최한월 1월과 최난월 8월의 평균기온이 -3℃ , 26℃내외로 서북부 산간지대로 갈수록 겨울철 기온이 낮아진다. 연간 강우량은 1,050㎜내외로 낙동강 유역 대부분의 내륙지방이 1,000㎜ 정도에 비하여 다소 높은 편이다. 1. 경천대국민관광지 낙동강변에 위치한 경천대는 태백산 황지에서 발원한 낙동강 1,300여리 물길중 경관이 가장 아름답다는 “낙동강 제1경”의 칭송을 받아 온 곳으로 하늘이 .. 2023. 1. 16.
문경시(문경새재) 문경시는 행정구역상 우리나라의 동남부, 경상북도의 서북단 내륙에 자리잡은 중산간지역으로서 동쪽으로는 예천군과 남쪽으로는 상주시, 서쪽으로는 충청북도 괴산군, 북쪽으로는 충청북도 제천·충주시, 단양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영남지역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어 산세가 아치형으로 둘러싸인 관계로 지형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분지형 산악기후에 속해있다. 최근 수년간 연도별 평균기온 분포를 보면 최저는 1993년도에는 10.9도씨였고, 최고는 1994년도에 12.5도씨였으므로 연평균기온의 평균율은 작다고 할 수 있다. 1. 문경새재도립공원 백두대간(白頭大幹)의 조령산(鳥嶺山) 마루를 넘는 이 재는 예로부터 한강과 낙동강유역을 잇는 영남대로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로 사회 문화 경제의 유통과 국방상의 요충지였다. 새재.. 2023. 1. 16.
칠곡군 ⚡PI network 어플 다운 및 설치 가이드 보기⚡ 칠곡군은 경북 서남부에 위치하여 동쪽은 군위군, 대구광역시, 서쪽은 김천시, 성주군, 남쪽은 대구광역시, 북쪽은 구미시와 접하고 있는 영남지방의 도로교통의 요충지이다. 낙동강이 칠곡군 중앙을 남북으로 흐르고, 그 동쪽으로는 팔공산맥에서 뻗어내린 가산(902m)·유학산(839m)·황학산(714m)·소학산(622m) 등이 솟아 있다. 지질은 경상계 퇴적암으로 주로 변성암이 분포한다. 낙동강 서쪽에는 금오산(976m)·영암산(782m)·서진산(742m)이 있으며 시원생대 화강편마암으로 되어 있다. 강 주변에는 넓은 충적평야가 발달하였다. 하천은 팔거천과 이언천이 남류하다가 금호강으로 흘러들며, 그 밖에 경호천·두만천·서원천·한천·광암천 등이 낙동강에 유입.. 2023. 1. 15.
봉화군 경상북도의 최 북단에 위치하고 동쪽으로는 울진, 영양군과 남쪽으로는 안동시, 서쪽으로는 영주시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강원도의 영월군, 태백시와 경계하고 있다. 봉화군은 산세가 수려하고 선비의 정신이 깃들은 예절의 고장이다. 인구 3만여명에 1읍 9개면으로 전체면적의 83%가 오염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산림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자연 경관이 빼어나고 특산물이 많다. 특히,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청량산을 위시한 명산과 국보 및 보물들이 산재해있다. 1. 금강송(춘향목) 군락지 “서벽금강소나무 숲”은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에 위치한 80ha 규모로 굵기가 평균 50Cm가 넘는 약 1,500그루의 금강소나무(춘양목)가 자라고 있다. 이 숲은 1974년 채종림으로 지정된 이후 이곳에서 채취한 종자로 묘목을 키워 전국의.. 2023. 1. 14.
청도군(청도소싸움) 경상북도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면적은 서울특별시의 1.2배정도 되며 대구, 부산, 울산, 경남, 경북의 7새 시군과 인접한 영남권의 중심지인 영남알프스의 발원지로 경부선 철도와 대구 - 부산간 고속도로, 국도 20호, 25호선이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이다. 또한, 신라삼국통일의 정신이념인 화랑정신과 조국근대화의 초석이 된 새마을 운동의 발상지이며 수려한 자연 경관과 향교, 서원, 유적지등이 많은 문화재 산재의 고장이다. 1. 청도읍성 청도군의 중앙부에 위치한 화양읍 선상지에 축성된 남고북저의 석축성으로 고려 때부터 있었다. 산성과 평지성의 중간형에 해당하는 평산성으로 읍성의 평면형태는 방형이고 성벽은 자연석 협축벽이며 북·동·서벽의 중앙에 성문이 구비되어 있었다. 규모는 화안문헌고에 둘레 1,570보(약.. 2023. 1. 14.
의성군 의성군은 영남지방으로서 경상북도의 중앙에 위치하며, 조선시대 경상도가 좌·우로 갈라졌을때는 경상좌도에 속했다. 북쪽은 안동시와 예천군에 접하고, 동쪽은 청송군, 남쪽은 군위군과 구미시, 서쪽은 상주시와 인접하고 있다. 군청소재지는 의성읍 군청길 31번지에 있어 동쪽지역에 치우쳐 있으며 의성군의 경·위도상의 위치는 동극(東極)이 춘산면 금오리, 서극(西極)이 단밀면 낙정리, 남극(南極)이 가음면 현리리며, 북의 극지점은 다인면 용곡리이다. 의성군과 위도상 비슷한 위치에 있는 지역은 동쪽으로 청송군과 영덕군이며, 서쪽으로는 상주시와 충북 보은, 옥천군, 대전광역시, 충남의 청양, 부여, 보령이다. 1. 대곡사 대곡사는 고려시대에는 비봉산 일대에 본원을 비롯한 9개의 암자를 지었을 정도로 융성했다. 그러나 이.. 2023. 1. 13.
고령군(가야문명) 서쪽으로 미숭산 남서쪽에 만대산이 위치하여 경상남도와 도계를 이루고 동쪽은 낙동강이 관내 4개면을 우회하면서 달성군과 경계하여 흐르고 북은 의봉산과 가야산 줄기가 연결되어 성주군과 접하고 있으며 가야산 계곡을 상류로하는 회천과 소가천이 각각 운수, 덕곡면을 통과하여 대가야 읍 본관리에서 합류하고, 경남 가야산에서 쌍림면을 통과한 안림천과는 대가야읍 동남 하부지역에서 다시 합류, 낙동강으로 이어지고 있다. 1. 대가야박물관 2005년 4월 문을 연 대가야박물관은 우리나라 최초로 확인된 최대 규모의 대가야시대 순장무덤인 지산리44호 무덤을 복원 재현한 '대가야왕릉전시관', 대가야를 중심으로 고령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전시한 '대가야역사관', 악성 우륵과 가야금을 체계적으로 재조명한 '우륵박물관'등으.. 2023. 1. 13.
성주군(성주참외) 성주군은 경북의 서남에 위치하여 지형은 대체로 원형을 이루며 동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칠곡군, 서쪽으로는 김천시와 경남 거창군 남쪽으로는 고령군 및 경남 합천군, 거창군, 북쪽으로는 김천시와 칠곡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서북쪽은 낙동강 과 그 지류 하천이 형성한 평야지대로 양분되어 있고 낙동강 및 대가천 연안의 사질양토가 폭넓게 분포되어 있음 1. 독용산성과 성주호둘레길 독용산성의 둘레는 7.7km(높이2.5m 평균폭넓이1.5m)에 이르며 산성내 수원이 풍부하고 활용공간이 넓어 장기전투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포곡식 산성으로 영남지방에 구축한 산성 중 가장 규모가 크다. 성벽은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강암을 절석(切石)하여 축조하였는데, 막돌흩은층 쌓기를 하였으며 사이사이의 공간에는 잔돌끼움 .. 2023. 1. 12.
예천군 북부에는 소백산맥 및 그 지맥이 뻗어내려 산지가 많고, 중부와 남부에는 저지 및 분지가 발달하여 북고남저 의 지세를 보이며, 낙동강·내성천 유역을 형성한다. 동쪽은 안동시· 영주시, 남쪽은 의성군·상주시, 서쪽은 문경시와 접하고 북쪽은 충청북도 단양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행정구역은 1읍 11면으로 이루어졌으며, 군청 소재지는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대심리에 있다. 동 북쪽에는 소백산맥의 산악지대로 형성되어 있고 서남쪽에는 낙동강과 내성천변에 일부 평야를 이루고 있다. 1. 회룡포 우리나라에서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물돌이 마을 회룡포는 낙동강 지류인 내성천이 350도 휘돌아 나가는 육지속의 섬마을로서, 예천군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들이 오는 곳으로 주변에 장안사, 황목근,용궁향교,원산성, 용궁순대.. 2023.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