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여행/경상북도23

울진군 경상북도 동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동해를 서쪽으로는 봉화군과 영양군, 남쪽은 영덕군, 북쪽으로는 강원도 삼척시를 접하고 있다. 2개의 읍과 8개의 면으로 행정구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총 989.44㎢의 면적에 5만여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농업과 어업을 겸한 농촌마을이다. 1. 죽변해안스카이레일 울진 바다를 가까이서 볼 수 있는 죽변스카이레일은 자동으로 움직이는 모노레일이다. 죽변스카이레일 코스는 죽변항~봉수항으로 이어지는 2.8km A코스, 후정해변~봉수항으로 이어지는 2km의 B코스가 있다. 죽변스카이레일을 타면서 하트해변, 드라마 폭풍속으로 세트장, 죽변등대를 볼 수 있다. 2. 구주령 영양군 수비면과 울진군 온정면 경계에 있는 약 550m 높이의 고개로 동쪽 도로에서 능선 쪽으로 올라가.. 2023. 1. 8.
청송군(주왕산/주산지) 자연과 지질, 전통과 문화가 어우러진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군내 도처에 산악이 기복하며, 특히 동은 태백산맥, 주왕산 등 험한 산악지대로서 영덕군, 포항시와 경계를 이루며, 남쪽은 보현산맥이 영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보현산맥의 지맥인 삼도산맥이 군의 중앙을 횡단하여 동서로 흘러 연행산을 연하여 안동시와 경계를 이루어 지형이 남북으로 양단되고 용전천은 주왕산면과 부남면에서 흐르는 지류를 합하여 청송읍과 파천면을 경유하여 영양에서 진보면을 지나 임하댐으로 유입되는 반변천과 합류하고, 보현 산맥에서 발원한 보현천은 현서면과 안덕면을 경유하여 현동면을 관류하는 지류를 합하여 임하댐으로 흐르고 있다. 1. 주왕산국립공원 1976년 우리나라 12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택리지(擇里志)의 저자 이중환은 .. 2023. 1. 7.
영덕군 영덕군은 741.20㎢의 면적으로 경상북도 동북부에 위치하여 영남지방에 속하고 포항시와 울진군, 영양군, 청송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영덕군은 1읍(영덕읍) 8면(창수면,병곡면,영해면,축산면,지품면,달산면,강구면,남정면) 204개 행정리가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강원도 사이에서 가장 준령의 영산인 태백산맥이 동남으로 뻗어 내리면서 이곳 영덕을 감싸 안았다. 북으로는 병곡면 금곡리를 둘러 그 뿌리를 동해에 꽂았다. 주맥은 남으로 내려 뻗어 병곡리 서남의 거산 칠보산을 형성하여 놓았고 국사봉 독경산, 명동산 등 지산구릉을 이루면서 남주한 것이 병곡, 창수, 영해평야를 펼쳐 놓았으며 다시 뻗어내리니 대둔산, 성암산, 달노산, 팔각산, 동으로 내린 일맥 산악이 화림산, 고불산을 형성하므로써 영덕, 강구, 남.. 2023. 1. 7.
영양군 영양은 경상북도 동북부 태백산맥의 내륙지역에 위치하며 동쪽은 울진군과 영덕군, 서쪽은 안동시, 남쪽은 청송군, 북쪽은 봉화군 등 5개 시군과 경계하고 있다. 영양군의 지형/지세는 태백산맥이 동남방향으로 뻗어 많은 대소계곡을 형성하여 북고남저의 산간분지상의 지역을 이루고 있으며 전반적인 해발고도가 경북에서 가장 높다. 조상의 숭고한 얼이 담겨있는 문화유산과 반딧불이 서식하고 천혜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보유하고 있는 청정지역의 영양은 대대로 충의열사와 문인이 많이 배출된 유서 깊은 선비의 고장입니다. 또한 영남의 영산인 해발 1,219m의 일월산을 중심으로 수려한 자연 경관과 풍부한 문화 유적을 보전하고 있어 개발 잠재력이 풍부합니다. 특산물은 고추, 사과, 담배, 더덕, 천궁, 천마, 어수리 곰취나물, 산머.. 2023. 1. 7.
군위군(삼국유사) 행정현황 - 면적 : 614.24㎢(경북도의 3.2%, 경상북도 19,028㎢) - 인구 : 22,945명 / 13,258세대(2021.12.31.현재) - 행정구역 : 1읍 7면 180개리 502개반 1. 화산마을(화산산성) 해발 800m의 산정상에 고랭지 채소를 주산물로 살아가는 마을이다. 마을 아래쪽에는 화산산성이 있는데 조선 숙종 35년(1709)에 병마절도사 윤숙이 왜적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지은 산성으로 흥예문에서 수구문에 이르는 거리 200m, 높이 4m의 성벽을 구축하던 중 심한 흉년으로 산성을 완공을 하지 못한 채 남아있다. 마을에서 내려다보이는 주변 경관과 일출, 일몰이 장관이다. 2. 삼국유사테마파크 부지 722,263(건축 연면적 18,167)에 한국의 대표 역사서인 삼국유사 (三國.. 2023. 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