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여행134

무안군 전라남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자 전라남도의 도청 소재지인 무안은 인구 9만여 명으로, 전라남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군이다. 동북쪽으로는 함평군, 서쪽으로는 서해 및 신안군 섬지역과, 남서쪽으로 목포시와 접한다. 이 지역을 이른바 무안반도라고도 부르는데 목포권 지역 중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진 지역이기도 하다. 목포 인근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인데다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 해안의 특성상 갯벌이 엄청나게 넓게 퍼진 것으로도 유명하며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한다. 따라서 갯벌에서 나오는 어패류나 낙지도 많이 잡힌다. 특산품으로는 낙지와 양파가 있다. 몇몇 지역은 작은 반도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기에 자동차를 타고 가다 보면 좌우로 바다가 보이는 지역도 꽤나 존재한다. 산도 별로 없어서 전체적으.. 2023. 2. 3.
산청군 산청군은 경상남도의 서북부에 위치하여 동부는 합천군과 의령군에, 서부는 함양군과 하동군에, 남부는 진주시에, 북부는 거창군에 각각 인접하였는데, 그 규모는 동서가 38.8km, 남북 40.3km로서 주위는 대부분이 준험한 산령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특히, 서부는 천왕봉을 기점으로 한 지리산맥이 남.북으로 질주하여 하동, 함양군과의 경계를 이루고, 합천군과는 황매산이 양군의 분수령을 형성하고 있다. 도로는 대전~진주간 고속도로가 2001년 진주↔대전까지 전 구간 개통되어 접근성이 많이 좋아졌다. 1. 지리산 천왕봉 지리산 국립공원(智異山國立公園)은 1967년 12월 29일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금강산, 한라산과 더불어 삼신산(三神山)의 하나로 알려져 왔으며, 신라 5악중 남악으로 어.. 2023. 2. 2.
김천시 김천시는 동쪽으로 경상북도 구미시, 칠곡군, 성주군과 접하며 서쪽으로 충청북도 영동군, 전라북도 무주군과 접하며, 남쪽으로 경상남도 거창군과 접하며 북쪽으로 경상북도 상주시와 접한다. 시의 이름에는 하늘 천(天)이나 내 천(川)이 아닌 샘 천(泉)을 쓴다. 물이 맛있어서 귀한 물이라는 뜻의 김천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또한 지명에서 쇠 금(金)자를 쓰면서도 '금'이 아닌 '김'이라고 읽는 예외적인 사례 중 하나다. 행정구역 면적이 1,000㎢를 넘는 지역으로 226개의 기초자치단체 중 16위, 경상북도 내 5위, 시급 도시들 중 8위를 차지한다. 김천보다 더 큰 경상북도 지자체는 안동시, 경주시, 상주시, 의성군이 있다. 1. 사명대사공원 사명대사공원은 백두대간 황악산의 아름다운 자연과 인근 직지사.. 2023. 2. 1.
안양시 과거엔 대표적인 공업도시였으나, 안양의 땅값이 큰폭으로 상승하면서 대다수의 공장들이 땅과 공장을 팔고 근처 시화, 반월공단 또는 지방으로 대거 이동하였다. 과거 공장부지에는 지식정보타운을 비롯한 업무시설 또는 상업시설로 채워졌으며 이에 대표적인 예가 평촌역 주변 스마트베이이다. 안양시의 지형은 남쪽 방향으로 열린 분지 지형이다. 북쪽에 관악산, 서쪽에 수리산, 동쪽에 청계산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평지가 연속되어 있어 군포 및 의왕 시가지와 연담되어 있다. 안양천이 시 서쪽을 관통하여 북쪽으로 흐르고, 학의천이 시 북쪽을 동서로 관통한 뒤 안양천에 합류한다. 안양천은 이후 서울특별시 서남부를 지나 한강에 합류하기 때문에 안양시는 한강 유역이라고 보면 된다. 1. 병목안 시민공원 병목안시민공원은 일제강점기부.. 2023. 2. 1.
진천군 충청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 면적은 407.24㎢. 서로는 충청남도 천안시, 남으로는 청주시, 동으로는 증평군과 음성군, 북으로는 경기도 안성시와 접해 있다. 충청북도에서 청주시 다음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시도 아니라 군임에도 인근의 자치단체들보다 빠른 속도의 개발과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인구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미래 전망도 낙관적이라 2025년 시 승격 목표를 꿈꾸고 있다. 하지만 남쪽에 청주시, 서쪽엔 천안시 등 대형 도시들이 있고, 청주 생활권으로 묶여있는 변수가 있다. 진천의 다른 이름은 상산이다. 예로부터 생거진천(生居鎭川, 살아서는 진천에 살다)으로 알려져 있다. 그만큼 살기 좋은 동네라는 명성이 과거에 있었다. 이는 자연재해의 피해가 적고 진천평야의 곡창지대를 끼고 .. 2023. 1. 31.
아산시 아산시는 한반도의 중앙부 및 충남의 최 서북단에 위치하며 수도권과 충남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북쪽은 차령산맥의 여맥에 속하는 낮은 구릉성 산지를 이루고 남쪽의 산지에서 발원하는 곡교천이 서류하여 그 유역이 평야를 형성하며, 삽교천에서 통합하여 아산만에 유입한다. 남쪽에 광덕산과 북쪽에는 영인산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남고북저의 지형인 우리시는 중앙이 낮고 평평한 평야가 전개되고 있다. 동쪽으로는 천안시와 남쪽으로는 공주시, 서쪽으로는 예산군,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와 접하고 있다. 서해안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장항선 등으로 서해안 내륙지방의 수송기능이 강화되었고, 경부고속철도는 서부지방으로의 수송을 유리하게 하여 관광자원을 보유한 우리지역을 지역개발 잠재력이 풍부한 곳으로 지목받고 있다. 1. 신.. 2023. 1. 30.
임실군 전라북도의 중심부에 있는 군으로 전주시와 더불어 전북 도내의 시, 군들하고만 경계를 접하고 있다. 동쪽이 장수군과 남원시, 서쪽이 정읍시, 남쪽이 순창군, 북쪽이 완주군과 접해 있다. 전주시와 남원시 사이에 끼어있어서 두 도시의 생활권에 포함되어 있다. 전북 동북권 3개군의 머릿글자를 따서 무진장이라고 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남권의 임실군과 순창군, 남원시 세 고장의 머릿글자를 따서 임순남으로 한데 묶어서 부르기도 한다. 낙농업이 발달한 지역으로 외지인들이 임실군하면 대부분 치즈를 떠올린다. 임실군은 전반적으로 산이 많은 고장이다. 관촌면, 임실읍, 오수면 일대는 비교적 평탄하지만 나머지 지역은 산이 많다. 특히 순창군과 경계를 이루는 지점에 있는 회문산은 6.25 전쟁 당시에 험준한 지세에 의지하여 .. 2023. 1. 30.
영광군 영광군은 지리적으로 전라남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남쪽은 장성군과 함평군에 접하고 북으로는 전북 고창군과 접한다. 서쪽으로는 홍농읍·법성면·백수읍·염산면 등이 서해와 접해있다. 영광의 국토개발축상 위치는 수도권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나 서울·목포를 연결하는 서해안 개발축에 위치하고 있어 서해안시대의 도래 속에서 개발 잠재력이 큰 지역에 속한다. 따라서 대중국무역 중심기지로 발돋움하고 있는 새만금간척지개발권과 목포개발권(대불공단·무안기업도시), 그리고 광주개발권(평동·하남 산업단지와 전남 혁신도시)의 영향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위치에 놓여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더욱 기대된다. 산업적으로는 광주와 목포, 전주를 비롯한 주변의 인구밀집지역이 근거리에 위치하여 넓은 소비시장을 배경으로 한 상업영농의.. 2023. 1. 30.
하동군 우리군은 한반도의 남단, 경상남도의 최서부에 위치하여 북쪽으로는 지리산을 경계로 산청군과 함양군, 전라북도 남원시와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섬진강을 사이에 두고 전라남도 광양시와 구례군과 인접해 있고, 동쪽으로는 진주시와 사천시, 남쪽으로는 남해 바다를 경계로 남해군과 접하고 있어 2개도와 8개 시군과 접하고 있다. 장엄하게 우뚝솟은 지리산 국립공원과 맑고 푸른 섬진강이 굽이굽이 흐르고 산자수려한 자연과 임진왜란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최후 승전장이었던 한려해상국립공원, 청정해역의 노량 앞바다등 아름답고 유서 깊은 고장이기도 하며 화개면 기슭에 자리한 신라고찰 쌍계사와 지리산 청학봉과 백학봉 사이에 있는 불일폭포, 지리산 반야봉 기슭에 위치하고있는 칠불사 등 풍부한 관광자원과 흰 모래와 노송이 어우러.. 2023. 1.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