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는 경상북도의 서남부에 있으며 동남쪽에는 칠곡군, 서쪽에는 김천시, 북쪽에는 상주시, 동북쪽으로는 군위군과 의성군을 접하고 있다. 지세는 대개 서북방으로부터 동남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며 시의 중앙을 낙동강이 북에서 남으로 관류하고 있어 농 · 공업의 발달을 위한 용수공급에 유리한 자연적인 입지여건을 갖추고 있다. 서남단에는 해발 976m의 웅장한 금오산, 동쪽에는 사면석벽의 천생산, 동북쪽에는 청화산과 냉산 등이 위치하여 수려한 산세를 이루고 있다.
기후는 한반도의 남부내륙형에 속하며 비교적 한서의 차가 심한 대륙성 기후를 나타낸다. 겨울의 최한월은 1월로 평균 기온은 섭씨 영하 5도 내외이고 여름은 분지 지형의 영향으로 8월 중 섭씨 25도 내외의 최고 평균기온을 나타낸다.
편리한 교통망, 풍부한 용지와 용수 등 양호한 입지여건으로 무한한 개발 잠재력을 지닌 도시이다. 첨단 산업기지와 선진 농업이 조화를 이루는 이상적인 발전 가능성을 가진 도시이다.금오산은 바라보면 거인이 누워있는 모습 같다고 해서 거인상이라고도 하고 부처님이 누워있는 모습 같다고 해서 와불상(臥佛像)이라고도 한다. 또한 이 산은 거인의 눈이 북두칠성을 응시하고 있는 형상이라 해서 조선조 초 풍수지리설의 대가인 무학대사가 이 산 아래를 지나다가 "군왕이 날 산인고로 거인이 날 것으로" 예언했다고 한다.
1. 신라불교초전지
신라불교초전지는 고구려 승려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신라에 불교를 처음으로 전한 신라 불교역사의 성지입니다. 1600년 역사가 되살아난 기념관에서 찬란한 불교문화를 배우고 전통가옥에서의 하룻밤, 다양한 불교문화체험을 통해 바쁜 일상의 묵은 때를 씻어내기를 바랍니다.
2. 일선리 문화재 마을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에 있는 전주 유씨 집성촌. 일선리 문화재마을은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에 살던 전주 유씨(全州柳氏)들이 임하댐 건설로 마을이 수몰되자 집단으로 이주하여 만든 현대식 집성촌이다. 일선리(一善里)는 신라 시대 선산군의 지명이다. 안동에서 살던 집과 누정 일부를 그대로 이건하여 집을 지은 까닭에 일선리 문화재마을이라고 하였다. 1980년대 초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다목적 댐인 임하댐 건설이 정해지자 당시 수몰 지역으로 내정된 수곡리 일대에 살던 사람들의 거처가 문제로 떠올랐다. 이에 당국에서는 선산군의 도개면 신림리와 해평면 낙산리 경계선에 놓여 있던 밭과 야산을 정비하고 1987년 해당 지역 사람들을 이주하게 하였고, 1988년 7월 1일 「선산군 조례」제1042호에 따라 해평면 일선리로 행정 구역을 개편하였다. 당시 마을 앞 낙동강 강변 유휴지 83만 2000㎡를 농지로 조성하여 이주한 주민들에게 8,000㎡씩 분양하였다. 1995년 구미시와 선산군이 통합되며 구미시 해평면 일선리 문화재마을이 되었다.
3. 구미에코랜드
구미에코랜드는 구미시 산동읍 인덕리 일원에 위치한 구미시산림문화관, 생태탐방 모노레일, 산동참생태숲, 자생식물단지, 어린이테마교과숲, 문수산림욕장 등의 산림문화휴향시설과 산림문화공원구역 총칭합니다. 날로 증가하는 여가 및 휴식 장소에 대한 열망에 부응하여 구미에코랜드는 산림휴양공간으로서 산림 , 문화 , 전시 , 체험을 함께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장소입니다.
※ 예약 : https://www.gumi.go.kr/tour/ecomain.do?mId=0207010000
4. 인동향교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조선 시대 공자와 선현을 향사하고 후학들에게 교육을 실시한 향교. 인동향교는 정확하게 어느 시기에 건립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조선 전기의 어느 시점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의하면 인동의 북쪽 2리 지점인 황상동의 어운산 자락에 향교가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의 병화로 소실되었고, 임진왜란 직후인 1601년(선조 34)에 안태동으로 옮겨 다시 지었으나 지반이 무너지는 참화를 당하였다. 이에 1634년(인조 12) 경상감사 이기조(李基祚)의 건의로 옥산의 서쪽으로 다시 이건하고, 이듬해 위패를 봉안하였다. 1987년 임수동에 부지를 확보하고 이전 중수에 착공하여 이듬해에 완공하였다. 인동향교는 다른 향교와 마찬가지로 전학후묘형(前學後廟形), 즉 앞쪽은 공부하는 공간, 뒤쪽은 공자 및 선현을 향사하는 공간으로 나누어진 형태이다. 경내 건물로는 대성전과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삼문, 명륜당, 출입문 등이 현존하고 있으며, 대성전 앞의 좌우 동무와 서무는 건물이 노후되어 철거되었고, 지금은 주춧돌 등 유지만 남아 있다.
5. 해마루공원
해마루공원은 전자산업의 電의 빛을 뜻하는 해와 정상을 의미하는 마루를 합성한 순수한 우리말. 공원 서쪽에는 벽천, 야외 공연장,전망대, 거북광장 등 만남, 휴게공간이 조성되고 있고, 동쪽에는산책로, 운동시설 등이 있다.
6. 박정희대통령 생가 / 민족중흥관
조국 근대화와 새마을운동의 창시자인 박정희 대통령이 태어나서 자란 집이며 1900년경 건립한 것으로추정된다./ 국가와 민족의 번영을 위해 헌신하신 박정희대통령 일대기를 실사 촬영한 자료를 바탕으로 아시아 최초 국내유일의 하이퍼 돔 영상관(면적227㎡, 최대80명 관람)과 전시실을 갖추고 있다.
7. 금오산 올레길 / 금오산케이블카
9년간 조성공사를 통행 2016년에 준공된 총길이 2.43Km의 올레길, 제당산책로, 부잔교, 아치교, 데크로드, 콘크리트구간, 흙길산책로 등 다양한 구간이 이어져 걷는재미와 금오지 와 금오산의 풍경을 즐기면서 걸을수 있어, 시민과 광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금오산국립공원은 경치가 참 좋다. 둘레길도 좋다. 등산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케이블카 이용 적극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