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전라북도

전주시

by goldpi 2023. 9. 30.
반응형

PI network 어플 다운 및 설치 가이드 보기

전라북도 제1의 도시이자 전라도에서는 2번째로 큰 도시다. 고대 한국사의 뿌리가 되는 지역 중 하나이자 조선의 뿌리이기도 한 도시이기에 전통문화 측면에서 인지도가 높은 도시이다.

사진
전주의 관문 : 호남제일문

1. 전주한옥마을

사진
사진

  가. 경기전

사진

1991년 1월 9일 사적 제339호로 지정되었다. 1410년(태종 11)에 임금은 전주, 경주, 평양에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하는 전각을 짓고 어용전(御容殿)이라 하였다. 경기전은 왕조의 발상지라 여기는 전주에 세운 전각으로, 세종 때 붙인 이름이다. 건물은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던 것을 1614년(광해군6)에 중건하였다. 보호면적은 49,590㎡이다.

  나. 풍남문

사진

풍남문은 조선 시대에 전라감영이 있었던 전주를 둘러싼 전주성의 남쪽 문이다. 원래 전주성에는 동서남북 네 곳에 문이 있었지만 현재는 풍남문만 남았다.

  다. 전동성당

사진

사적 제288호인 전동성당, 천주교 신자의 순교지이기도 한 이 곳에 1889년 프랑스의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보드네 신부가 성당 부지를 매입하고 1908년 프와넬 신부의 설계로 건물이 완공되었다. 호남지방의 서양식 근대건축물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래된 것의 하나로 평지의 성당으로는 대구 계산동 성당과 쌍벽을 이룬다. 

  라. 오목대

사진

오목대는 1380년(우왕 6) 삼도순찰사 이성계가 황산에서 왜구를 토벌하고 귀경하는 도중 승전을 자축하는 연회를 열었던 곳이다. 오목대에서 육교 건너편으로 70m쯤 위쪽으로 가면 승암산 발치에 이목대가 자리잡고 있다. 이목대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4대조 목조 이안사(李安社)의 유허(遺墟)로서 시조 이한(李翰) 때부터 누대에 걸쳐 살던 곳이다. 

  마. 향교

사진

전주향교는 지금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하는 조선시대 교육기관으로 고려 공민왕 3(1354)에 창건되어 조선 선조 36(1603)순찰사 장만(張晩)이 좌사우묘지제(左社右廟之制)에 어긋난다고 조정에 품신하여 왕의 재가를 받아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2. 남부시장

사진

전주성 남문 바깥의 남문장의 역사를 이은 남부시장은 전주를 대표하는 전통시장이다. 전주 최대 규모의 시장인 만큼 볼 것도, 즐길 것도, 먹을 것도 많은 남부시장은 한옥마을 바로 건너편에 있어 함께 둘러보기 편해 필수 여행코스로 자리 잡았다.

※ 운영시간 : 매주 금, 토(3월~10월 18:30~23:30 / 11월~2월 18:00~24:00)※ 하늘정원 달빛 버스킹 : 남부시장 2층 청년몰(매주 금, 토 / 11월 11일~12월 17일 18:00~19:00)

 

3. 아중호수

사진

아중호수는 3년전까지만 해도 '아중저수지(인교저수지)'로 불리던 곳이었으나 저주지의 원래 기능인 농업용수의 역할이 퇴색되면서 15년 3월 일대를 시민들의 쾌적한 쉼터로 제공하고자 수상 산책로 데크 및 야간 조명 설치로 야간에도 밝고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는 저수지로 탈바꿈되었다. 

 

4. 전주한옥레일바이크

사진

옛 전라선인 아중역 폐선로에 만든 레일바이크로 아중역에서 왜망실까지 왕복 3.4km를 시속 15~20km로 이용할 수 있는 곳으로 이용중에 ktx 및 무궁화호, 아중저수지를 볼 수 있다. 

사진

 

5. 국립전주박물관

사진

전라북도 관련 중요 문화재를 4만여 점 소장하고 있으며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어린이박물관도 운영하고 있다. 

 

6. 덕진공원

사진

덕진공원은 1977년 개장하였으며, 총 면적은 약 1.1km²(333,328㎡)입니다. 공원 내부는 잘 조성된 산책로와 자전거 도로가 있으며, 계절별로 다양한 꽃들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합니다. 특히 덕진공원의 명소 중 하나인 '덕진호'는 인공호수로, 그 주변에는 연꽃이 활짝 피어 여름철에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또한 호수 위에 설치된 음악분수도 유명하며, 일정 시간마다 진행되는 음악분수 쇼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출렁다리로 있으니 건너가보자.

 

7. 한국도로공사수목원

사진

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훼손된 자연환경 복구를 위해 수목을 생산, 공급하고 다양한 식물종을 모아 자연학습장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식물의 보존, 증식, 보급, 자생식물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위치 또한 전주ic 근처에 있어서 자가용을 이용해서 전주에 온 관광객이라면 꼭 한번 들러보길 바란다. 

반응형

'여행 > 전라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읍시  (0) 2023.10.12
남원시  (2) 2023.05.10
김제시  (0) 2023.04.03
완주군  (0) 2023.03.12
무주군  (0)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