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충청남도

공주시

by goldpi 2023. 9. 11.
반응형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구려의 수도였던 '금관'이 있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백제의 발원지, 고구려의 금관"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주시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는 도시 중 하나로 백제와 고구려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백제 건국의 발원지이며, 고구려가 세력을 확장하면서 중요한 관문으로 사용된 지역으로 많은 문화유산과 유적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1. 공산성 

공산성(사적 제 12호)은 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성곽으로 웅진백제(475~538)를 지킨 왕성이다. 금강이 흐르는 해발 110m 능선과 계곡을 따라 흙으로 쌓은 포곡형(包谷形)산성이다. 백제시대에는 웅진성, 고려시대공주산성, 고려시대 이후 공산성, 인조가 이괄의 난(1624)을 피해 산성에 머문 이후 쌍수산성으로도 불렀다. 조선 선조·인조 때 지금과 같은 석성(石城)으로 개축하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사용된 공산성에서 시대별 역사를 살펴 볼 수 있다.

 

1-2. 박찬호기념관(투머치 토크, 우리형)

한국인 최초 메이저리거 코리안 특급 찬호박!! 

 

2. 계룡산 및 갑사(계룡산 갑사 1코스)

우리나라 4대 명산, 계룡산!! 산 이름은 주봉인 천황봉(天皇峯, 845m)에서 연천봉(連天峯, 739m)·삼불봉(三佛峯, 775m)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마치 닭 볏을 쓴 용의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차령산맥 중에서도 비교적 험난한 이 산은 유연히 흐르는 금강의 풍치와 어울려 독특한 산악 경관을 이루고 있다.

백제 때 창건되어 화엄종 10대 종찰 중에 하나가 된 갑사는 마곡사의 말사이다. 으뜸 또한 첫째란 뜻의 ‘갑사’는 18세기말 산 이름을 따서 계룡갑사로 부르고 있고, 경내에는 15동의 불전과 승당, 부속, 전각들이 있으며 주변 산골짝 여러 곳에 산내 암자를 두고 있다. 

갑사에서 수정봉까지 이어지는 명승지에 1곡에서 9곡까지 바위에 이름을 새겨놓는 아름다운 계곡 갑사구곡은 큰 바위와 높게 자란 고목들이 맑은 계곡과 어우러져 자연이 주는 기쁨을 만끽할 수 있다.

계룡산 국립공원 등산 코스 보기

 

코스별난이도 < 계룡산국립공원 < 국립공원탐방 <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공단

www.knps.or.kr

 

3. 고마나루

고마나루는 무성한 솔밭 금강 가에 위치하고 있는 옛 강나루 이름이자 공주시의 옛 지명이기도 하다. 공주시 웅진동 북쪽을 휘감아 도는 강나루의 솔밭, 연미산이 마주보이는 강 쪽으로 웅진수신지단(熊津水神之檀)이 마련되어 있다. 이 수신단의 유래는 국가에서 주관하여 제를 지내는 두 곳의 단(壇)에서 유래된다. 산신(山神)에게 제사지내던 곳이 계룡산 중악단(中嶽壇)이고 수신제를 지내던 곳이 고마나루의 웅신단. 
고마나루 솔밭 강변에 설치된 웅신단은 춘추의 제향뿐 아니라 중요한 행사가 있을 때도 고유제를 지내고 산천의 신령에게 가호를 기원했던 곳이었다.

 

4. 공주무령왕릉과 왕릉원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백제25대왕)은 1971년 배수로 공사를 하다 우연히 발굴되었는데, 1,500년 전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며, 완전한 상태로 발굴되었다. 이는 삼국시대 파장자의 신분을 알 수 있는 한국 고대의 유일한 왕릉으로, 화려하고 세련된 미의식과 창의성, 수준 높은 공예기술을 엿볼 수 있다.

 

5. 국립공주박물관

백제 웅진 시대를 한눈에!! 공주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테마 박물관으로 백제 제25대 무령왕의 혼이 살아 숨 쉬는 무령왕릉실과 충남지역의 구석기시대 ~ 통일신라의 역사문화가 있는 선사고대문화실이 있다. 공주시 일원에서 출토된 불교유물인 대통사지출토 석조와 서혈사지 출토 석불좌상 등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 

 

6. 석장리박물관(구석기유적지)

석장리 구석기유적의 발굴은 우리나라에 구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음을 보여주는 곳으로 역사적 의의가 크다. 구석기시대의 유적은 동굴, 평지 등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주로 강이나 물가에서 가까운 곳에 자리 잡고 있다. 공주 석장리유적의 경우는 평지유적으로 구석기인들이 선호했던 생활환경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구석기인들은 주로 나무열매나 뿌리 등을 채집하거나 동물을 사냥해서 먹고 살았는데, 이 때 돌을 깨뜨려 만든 도구 또는 동물의 뼈나 뿔을 다듬어서 만든 골각기 등을 사용하였다. 사냥도구로는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등이 있으며, 요리도구로는 긁개, 밀개, 공구로는 새기개 등이 있다.

 

7. 마곡사

세계유산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 마곡사!!
산사는 공주 마곡사, 보은 법주사,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등 총 7곳 사찰로 구성된 연속유산입니다. 7~9세기에 창건되어 고대 한국불교와 종교적 의례의 지속적인 중심지가 되어 왔으며, 각각의 불교사상을 기반으로 다른 종파와 역사적인 관계를 맺으며 많은 역사적 건축물, 유물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역사적 단절없이 오늘날까지 신앙, 수행, 생활의 복합적 종교 공간이 온전하게 유지되어 왔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큽니다.

반응형

'여행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시  (0) 2023.08.27
보령시  (0) 2023.07.26
서산시  (0) 2023.07.24
논산시  (0) 2023.07.05
계룡시  (0) 2023.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