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여행134

관광 100선 중 - 6(남산 서울타워 & 케이블카) 남산에 있는 송신탑이자 서울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로서 옛 명칭은 서울타워(YTN 서울타워)였으며 2015년 12월에 YTN이 N서울타워 아래층에 복합문화공간인 서울타워플라자를 새로 개장하면서 남산서울타워로 이름이 바뀌었다. 탑 자체의 높이는 236.7m로, 일반적인 랜드마크 구조물과 비교하면 다소 낮은 편이지만 남산의 해발고도까지 합하면 479.7m가 된다. 1969년 12월 15일 착공되어 1975년 7월 30일에 준공되었으며 이 타워를 설립한 가장 큰 목적은 서울 전역에서 청취가 가능했던 북한 라디오와 서울 북부에서 시청이 가능했던 북한 TV방송에 대해 방해전파를 송출하기 위함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 생태환경 보호를 위해 일반 차량 운행을 제한하고 있으니 가급적이면 근처 공영주차장을 이용해 주시기 바.. 2023. 6. 23.
충주시 바다와 멀리 떨어진 내륙 깊숙히 있으며 대체로 산지가 중심이고 시내가 월악산을 포함한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기 때문에 일교차가 매우 심해 봄과 가을에는 아침에는 옷을 많이 껴입어도 춥지만 오후쯤 되면 입던 옷들을 벗어야하는 상황이 벌어질 정도로 기온이 상승한다. 거기다 충주를 관통하는 남한강과 충주호, 탄금호, 호암지 등에서 올라오는 습기로 인해 안개가 엄청 자주 낀다. 심할 때는 아침에 축구를 하는데 한쪽 골대에서 반대쪽 골대가 안보이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아파트도 안보일 정도이다. 일교차가 큰 기후의 영향으로, 지역 농특산물인 충주사과의 당도가 매우 높다. 1. 수안보온천 수안보는 한국의 온천지로서 물이 솟아나는 곳을 뜻하는 '물안비'라는 아름다운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선 시대의 기록들에도.. 2023. 6. 13.
계룡시 시의 명칭은 계룡산 및 계룡대에서 따왔으며 한자로는 계룡(鷄龍)이다. 원래 논산시 두마면이었으나, 2003년 9월 19일 논산시에서 분리되어 계룡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도농통합시 제도가 도입된 이후 유일하게 시로 분리승격된 기초자치단체이다. 승격 당시나 지금이나 인구가 5만 미만으로 시 승격 조건에 미달하지만, 특례법에 따라서 시로 승격된 유일한 사례이다. 계룡대가 위치해있어 그 중요도를 인정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대전광역시의 좌측에 밀접해있어 대전 시내권과의 접근성이 편리하며, 대표적인 대전광역시의 위성도시로 인정받고 있다. 주요 인구층이 다른 지방에서 자주 이사 다니던 군인들이었고 현재도 다른 곳에서 유입되는 인구가 많은지라, 충청남도의 일부이지만 충청남도 다른 지역들과는 분위기가 다소 다른 .. 2023. 5. 26.
남원시 인구는 2023. 4. 30 기준 77,503명(남자 37,994/ 여자 39,509)로 전라북도 인구의 4.50%를 차지하고 있으며, 23개 읍면동 가운데 도통동이 16,750명으로 가장 많고, 덕과면이 928명으로 가장 적다. 면적은 전라북도(8,062.98㎢)의 9.4%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인하여 지리산을 많이 끼고 있는 산내면의 면적이 가장 넓다. 남원시는 한반도의 서남부 내륙, 전라북도의 동남부 소백산맥 서사면의 넓은 분지에 위치하며, 시의 동남쪽은 지리산의 주 능선을 경계로 경남 하동군 및 전남 구례군과 북동부는 경남 함양군과 접하고, 서쪽은 임실군·순창군, 그리고 북쪽은 장수군과 인접하고 남쪽의 일부는 섬진강을 경계로 전남곡성과 접하고 있다. 1. 광한루원 남원은 춘향의 고향이자.. 2023. 5. 10.
강진군 전라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군의 산업 비중은 1차 산업이 71%인 전형적인 농어촌 지역이다. 군 내의 섬은 총 8개인데, 사람이 사는 섬은 강진만에 있는 가우도 하나다. 서쪽으로는 해남군, 북쪽으로는 영암군, 동쪽으로는 장흥군과 접한다. 남쪽으로는 강진만을 건너 완도군과 접한다. 지도에서 보면 강진군의 형상이 지리적으로 강진만을 중심으로 좌우로 갈라져 있고 한가운데에 있는 가우도 출렁다리를 이으면 대문자 A 혹은 바지 그리고 이빨과 닮았다. 강진군 지자체 측에서도 이것을 이용해 강진군 홍보에 A를 밀고 있다. 2018년 강진 관광 홍보 슬로건을 'A로의 초대'라고 지은 이유도 같다. 그러함으로 인해 중화권의 주강 삼각주와 꽤나 비슷하다. 1-1. 다산박물관 - 다산초당 조선 후기 개혁·개방의 학문을.. 2023. 4. 9.
의령군 ⚡PI(파이) 앱 다운로드 및 설치 가이드 보기⚡ 동서가 길고 남북이 짧은 타원형으로 서북부에 해발 897m의 자굴산이 우뚝하게 섰고 동북부는 688m의 국사봉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남부는 남강을 사이에 두고 함안군, 진주시와 경계를 이루며 동부는 낙동강을 경계로 창녕군과 접하고 서부는 산청군, 서북부는 합천군과 연접되어 있습니다. 낙동강과 남강이 만나는 곳에 위치하고 있어 비옥한 평야와 산간지대에는 분지가 발달하여 대체로 농업생산 여건이 좋은 곳이며, 동서로 국도 20호선이 지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고 개발입지가 아주 좋은 곳입니다. 낙동강의 본류와 지류(남강)가 합류하는 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강을 접한 남쪽은 비옥한 토지로 광야가 전개되고 있습니다. 1. 일붕사 천혜의 자연요건을 갖춘 봉황산에 소재한.. 2023. 4. 9.
안산시 동쪽은 군포시와 의왕시, 서쪽은 서해, 남쪽은 화성시, 북쪽은 시흥시에 접해 있다. 서울의 인구 및 산업 분산시책의 일환으로 도시 전체가 완전히 계획적이고 인공적으로 개발된 전원주택도시이다. 서울의 30km 반경 남 서부에 위치하여 서해안과 접해 있고, 지형은 내륙 쪽으로 비교적 완경사를 이루고 있다. 시흥시와 접한 북부에는 광덕산 마산, 남부에는 나봉산·칠보산 등 낮은 구릉선 산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반월천·안산천·화정천 등의 하천이 시내를 지나 그 주변 연안에는 비교적 넓은 충적지가 발달되었으며, 대부분이 논으로 이용된다. 1. 구봉도 낙조 대부도의 북단에 위치한 작은 섬 구봉도는 봉우리가 아홉 개 있다는 의미로 이름 지어졌습니다. 구봉도 앞 바다에서도 높이 솟은 두 개의 바위가 눈에 띄는데 큰 .. 2023. 4. 9.
제천시 충청북도 시인 청주시, 충주시에 이은 충청북도 제3의 도시로, 호서 지방의 어원이라는 설이 있는 '의림지'가 위치해 있다. 인접지역인 단양군, 영월군과 더불어 전국 시멘트 생산량의 절반을 상회하는 명실상부 시멘트 공업도시로 성장했으나, 현재는 광공업이 쇠퇴하면서 산업구조가 서비스업 및 관광업 위주로 개편되고 있으며, 전국 3대 약령시 및 황기 생산 거점 도시 등을 근거로 '자연치유도시' 및 '한방도시'로 홍보하고 있다. 1. 의림지 삼한시대에 축조된 김제 벽골제, 밀양 수산제와 함께 우리나라 최고의 저수지로 본래 ‘임지’라 하였습니다. 고려 성종 11년(992)에 군현의 명칭을 개정할 때 제천을 ‘의원현’ 또는 ‘의천’이라 하였는데 그 첫 글자인 ‘의’자를 붙여 의림지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축조된 명확한.. 2023. 4. 5.
당진시 충청남도의 최북단에 위치한 당진시는 북으로는 송산면, 송악읍, 석문면 등이 서해와 아산만을 경계로 평택시 포승읍, 화성시 우정읍에 접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신평면, 우강면 그리고 합덕읍이 삽교천을 경계로 아산시 인주면과 선장면에 접해있고 남쪽으로 합덕읍은 예산군 신암면과 접하고 면천은 예산군의 고덕, 봉산면과 접하며 정미면은 서산시 음암면, 운산면과 경계를 이루면서 당진시의 2/3가 바다와 접하고 있는 지리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한반도의 기후형인 온대계절풍 및 대륙성 기후권에 속하고 있다. 그러므로 당진지역은 온순기후에 해당되어 4계절이 뚜렷하고, 기후형으로 겨울철에는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여름에는 남서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기후적 위치에 속하고 있다. 1. 왜목마을 관광지 왜목마을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 2023. 4.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