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래
진나라의 차윤이라는 소년이 있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음전한 노력가로 공부를 열심히 했으나 집안이 가난해 등불을 켜는데 사용하는 기름조차 없었다. 엷은 명주 주머니를 벌레통처럼 만들어 그 속에 반디를 수십 마리 집어넣어 거기서 나오는 빛으로 책을 비추어 읽었다. 이렇게 열심히 노력한 끝에 상서랑이라는 관리로 출세했다. 또 같은 시대에 손강이라는 소년은 어릴 때부터 열심히 공부했으나, 역시 집안이 가난해 등불을 켤 기름을 살 수가 없었다. 추위를 견디며 창으로 몸을 내밀고 쌓인 눈에 반사되는 달빛을 의지해 책을 읽었다. 후에 어사대부가 되었다.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반응형
'유용한 정보&유머, 어록, 명언, 사자성어등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호가호위[狐假虎威] (0) | 2023.09.11 |
---|---|
22. 사면초가[四面楚歌] (0) | 2023.08.30 |
20. 우공이산[愚公移山] (0) | 2023.08.27 |
19. 풍수지탄[風樹之歎] (0) | 2023.08.22 |
18. 부화뇌동[附和雷同]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