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래
몹시 울며 슬퍼하는 고어에게 공자가 그 까닭을 물었다. 「저에게는 세 가지 한이 있습니다. 첫째는 집을 떠났다가 고향에 돌아와 보니 부모님이 이미 세상을 뜬 것이며, 둘째는 저를 받아줄 군주를 어디서도 만나지 못한 것이며, 셋째는 서로 속마음을 터놓던 친구와 사이가 멀어진 것입니다.」 하고는 다음과 같이 말을 이었다. 「나무가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그치지 않고, 자식이 봉양하려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반응형
'유용한 정보&유머, 어록, 명언, 사자성어등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형설지공[螢雪之功] (0) | 2023.08.27 |
---|---|
20. 우공이산[愚公移山] (0) | 2023.08.27 |
18. 부화뇌동[附和雷同] (0) | 2023.08.22 |
17. 역지사지[易地思之] (0) | 2023.08.16 |
16. 상전벽해[桑田碧海] (0) | 2023.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