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충청북도

옥천군

by goldpi 2023. 3. 3.
반응형

충청북도 중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면적은 537.12㎢, 인구는 2022년 10월 기준 49,591명이다. 북쪽으로는 보은군과 남쪽은 영동군, 금산군과 접하고 있다. 서쪽으로는 대전광역시 동구와 접하며, 동쪽으로는 소백산맥을 경계로 경상북도 상주시와 접한다. 충청북도 산하이긴 하지만, 위치상 충북의 중심 도시인 청주시보다 대전광역시와 생활권이 밀접하다.

 

1. 둔주봉 한반도 지형

둔주봉 정상(384m)에 오르기 전, 전망대(275m)에서 보이는 한반도 지형은 굽이굽이 금강 줄기가 만들어 낸 절경이다. 이 지형의 길이는 실제 한반도를 1/980로 축소한 1.45㎞로 동・서가 바뀐 모습이지만 거울에 비춰보면 정말 한반도와 똑같다. 둔주봉 오르는 길은 솔향기로 가득한 소나무 숲이 인상적이다.

 

2. 부소담악

호수 위에 떠 있는 병풍바위 부소담악으로 그 절경이 금강산을 축소해 놓은 것 같아 우암 송시열 선생이 소금강이라 이름 지어 노래했다고 전해오는 명소다. 본래 산이었으나 대청댐 준공으로 산의 일부가 물에 잠겨 마치 물 위에 바위가 떠 있는 형상이 되었다. 2008년 국토해양부가 선정한‘한국을 대표할 만한 아름다운 하천 100곳’중 하나다.

 

3-1. 용암사 일출

천년 고찰 옥천 용암사 용암사에서 데크 길을 따라 180m 정도 산을 오르면 전망대(운무대)가 나타난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새벽녘 운해와 일출은 미국 CNN go가 선정한 ‘한국의 아름다운 50곳’에 포함될 정도로 뛰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날씨가 도와주는 날이면 햇살을 받으며 구름이 춤추는 절경을 볼 수 있다.

 

3-2. 용암사

신라 진흥왕 13년(552)에 창간한 용암사는 세월의 변천에 따라 흥망성쇠(興亡盛衰)를 거듭한 끝에 지금의 모습으로 중건되었다. 조선 효종 2년(1651)에 조성된 것으로 밝혀진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는 주불전을 비롯한 당우 모두는 옛 모습이 아니나 이곳에 전해지는 동서삼층석탑과 마애불은 천여 년 변함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

 

4. 장계관광지

아름다운 대청호반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옥천의 유일한 관광단지다. 도심 속 매연과 스트레스에 지친 사람들을 위한 힐링터로 한적한 호숫가를 산책하며 사색에 잠겨보기 좋다. 향토전시관에 들어서면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 고려~조선시대 등의 돌도끼, 고문서, 목판, 연자방아 등 다양한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5. 옥천 구읍

문화유산이 살아 숨 쉬는 마을로 정지용생가, 옥천향교, 옥주사마소, 육영수생가 등 문화유산이 즐비한 거리다. 옥천전통문화체험관, 지용문학공원, 교동생태습지 등과 어울려 전통과 현대문명이 조화를 이루는 마을로 변모하고 있다. 맛집과 카페도 많아 옥천 관광의 중심으로 성장 중이다. 구읍은 조선시대 옥천군 관아가 있던 옥천의 옛 시가지다.

 

6. 향수호수길

옥천읍 수북리 선사공원에서 안내면 장계리 주막마을까지(5.6㎞) 대청호반의 멋진 경관을 따라 조성된 생태문화탐방로다. 산새, 다람쥐 등 자연을 벗 삼아 트래킹 할 수 있다. 호수를 좀 더 가까이서 볼 수 있는 물비늘전망대와 오대앞뜰, 솔향쉼터 그리고 황새터, 용댕이(황룡암), 주막마을 등 재밌는 이야깃거리가 있다.

 

7. 금강유원지

경부고속도로 금강휴게소가 세워지기 전부터 옥천군 동이면 조령리와 우산리 일대를 적시며 흐르는 금강유역을 두고 금강유원지라 하였다. 휴게소가 생긴 이후도 예전의 이름을 이어오고 있는 금강유원지는 유원지로 이어지는 경부고속도로 금강나들목이 있어서 접근성 또한 좋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휴게소와 인근 마을의 전력 공급을 책임지는 소수력발전소를 돌리기 위해 설치한 라바댐 위로는 시퍼런 강물이 넘실대며 그 아래 조령리에서 우산리에 이르는 구간은 강물이 여전히 여울져 흐르기 때문에 강마을의 정취를 흠뻑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태공을 자처하며 가족과 연인끼리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는데 모자람이 없다.

반응형

'여행 > 충청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천시  (0) 2023.04.05
영동군  (0) 2023.03.18
보은군  (1) 2023.02.23
증평군  (4) 2023.02.14
음성군  (0)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