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 network 어플 다운 및 설치 가이드 보기⚡
사자성어 와신상담이란?
유래
춘추시대 월나라 왕 구천과 싸워 크게 패한 오나라 왕 합려는 적의 화살에 부상한 손가락의 상처가 악화하는 바람에 목숨을 잃었다. 임종때 합려는 태자인 부차에게 반드시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고 유언했다. 오나라 왕이 된 부차는 부왕의 유언을 잊지 않으려고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자기 방을 드나드는 신하들에게는 방문 앞에서 부왕의 유언을 외치게 했다. 「부차야, 월왕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처럼 밤낮 없이 복수를 맹세한 부차는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면서 때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이 사실을 안 월나라 왕 구천은 참모인 범려가 의견을 제시했으나 듣지 않고, 선제 공격을 감행했다. 그러나 월나라 군사는 복수심에 불타는 오나라 군사에 대패하여 회계산으로 도망갔다. 오나라 군사가 포위하자 진퇴양난에 빠진 구천은 범려의 계략에 따라 우선 오나라의 재상 백비에게 많은 뇌물을 준 뒤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며 항복을 청원했다. 이때 오나라의 중신 오자서가 「후환을 남기지 않으려면 지금 구천을 쳐야 한다.」고 제시했으나 부차는 백비의 진언에 따라 구천의 청원을 받아들이고 귀국까지 허락했다. 구천은 오나라의 속령이 된 고국으로 돌아오자 항상 곁에다 쓸개를 놔 두고, 앉으나 서나 그 쓴맛을 맛보며 회계산의 치욕을 상기했다. 그리고 부부가 함께 밭 갈고 길쌈하는 농군이 되어 은밀히 군사를 훈련하며 복수의 기회를 노렸다. 이로부터 20년이 흐른 뒷날 월나라 왕 구천이 오나라를 쳐 이겨, 오나라 왕 부차를 굴복시키고 마침내 회계산의 굴욕을 씻었다. 부차는 용동에서 여생을 보내라는 구천의 호의를 사양하고 자결했다. 그 후 구천은 부차를 대신하여 천하의 패자가 되었다.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유용한 정보&유머, 어록, 명언, 사자성어등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 마이동풍[馬耳東風] (0) | 2023.11.22 |
---|---|
27. 토사구팽[兎死狗烹] (0) | 2023.10.11 |
25. 마부위침[磨斧爲針] (0) | 2023.09.21 |
24. 오매불망[寤寐不忘] (0) | 2023.09.18 |
23. 호가호위[狐假虎威] (0) | 2023.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