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I(파이)NETWORK/PI(파이) 가이드

20190314, pi network 출발

by goldpi 2022. 12. 27.
반응형

2019년 3월 14일 pi network 출범
핸드폰으로 채굴하는 최초의 가상화폐

그럼 왜 개발자가 이름을 pi(π)로 지었을까?
파이는 원주율(π, circle ratio) 즉 원의 둘레를 지름으로 나눈 값을 말하며,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Archimedes)가 원에 내외접하는 정96각형에서 원주율을 계산한 결과, 원주율(π)의 근사치가 3 과 10/71 보다는 크고 3과 1/7 보다는 작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르키메데스는 약 2200년 전에 원주율의 근사치가 3.14 라고 소수점 2자리까지 정확히 계산했고 이 원주율 3.14 라는 값은 오늘날에도 실용적으로 쓰이고 있는 값이다. 우리가 보통 원주율을 π 라고 표기하는 것은 그리스어로 둘레를 뜻하는 'περιμετροζ'의 첫 글자에서 따왔기 때문이라고 한다.

원의 크기가 달라져도 원에서 원주와 지름의 길이의 비,
(원주)÷(지름)은 일정한데 이 비율을 원주율이라고 합니다.

3.1415926535 8979323846 2643383279 5028841971 6939937510 5820974944 5923078164 0628620899 8628034825 3421170679 8214808651 3282306647 0938446095 5058223172 5359408128 4811174502 8410270193 8521105559

끝없이 이어지는 숫자들의 향연
아마도 개발자는 자신의 발명품이 끝없이 전인류에게 사용되길 원한다는 의미로 이름을 지은것 같다. 파이를 이미지화 한 것을 보면 두사람이 어깨동무를 하고 있는것 같다. 어깨동무는 사람과 사람을 계속 이을 수 있는 행위이며 많은 사람이 모여 어깨동무를 해서 원도 만들 수 있듯이 전인류를 아우르는 그런 화폐가 되길 바라는 의미로 시작이 된 것 같다.

또한 원주율이 3.14로 시작한다. 그래서 3월 14일날 첫발을 뗀것 같다. 개발자의 센스를 엿볼 수 있다.
지극히 저만의 추측입니다. 오해없으시길. ㅎㅎ

pi network 홈페이지

홈페이지는 이렇다.



#원주율 #아르키메데스 #원 #3.14 #지름 #수학자 #가상화폐 #암호화폐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도지 #머스크 #돈 #상장 #파이 #어깨동무 #강강술래 #지구

반응형